안녕하세요 길잃은문돌이입니다. IT공부를 해야하는데, 이번에 시간이 너무 촉박하고 블로그 2개를 같이 운영을 하다보니,시간이 나질 않네요. 유튜브 하는 걸 줄여야하나 아니 유튜브 제작을 하고있는데, 그것도 시간을 잡아먹으니 정신이 없네요. 주말만 되면 진짜 하루 종일 컴퓨터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데, 이게 사람사는게 맞나 싶네요 하하. 그래도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글을 작성하는건 아니라서 그냥 저의 기억들을 되살리고자 하는 겁니다 :D
5월달 되서는 제가 3개월차로 어느정도 이해도가 높아진 상태였습니다.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시험을 쳐야지 인건비 계상부터 시작해서 모든 계상이 가능해서 무조건 적으로 따야하는 필수관문이였죠. 공부도 열심히 하는 도중에 여러 업무들이 들어왔는데, 5월달은 창업보육매니저 시험에 매진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5월 1주차 업무일지한번 보시면서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일지 확인해 보시죠!
※ 어쩌다 서른 7편 8편
어쩌다서른 #8 : 4월 4주차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업무 및 근무강도
안녕하세요 길잃은 문돌이입니다. 벌써 4주차가 되었네요! 시리즈 개제하는 재미가 쏠쏠하네요. 많은 분들이 메세지도 주시고 여러가지로 문의도 주시고 하시네요.. 사실 저도 병아리라서 어떻
lostedhelloworld.tistory.com
어쩌다 서른 #7 : 4월 3주차 창업보육전문매니저 근무강도 및 업무
안녕하세요. 길잃은문돌이입니다. 제가 요즘 어쩌다 서른 시리즈를 개제하고있는데, 많은 분들이 창업보육전문매니저에 관심이 있으신거 같더라구요 은근 많이 들어오시고 사실상 저의 글 대
lostedhelloworld.tistory.com
월초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월말때 못한 부분들을 마무리 하고, 루틴이 확실합니다.
특히 세금계산서 같은 경우 31일까지 받은 금액을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하기 떄문에 월초에만 할 수 밖에없죠.
또한, 임대료 계산을 하고 청구하는것도 월초에 당월의 금액을 주는거기 때문에, 이전달에 주기에는 무리가 있죠.
창업보육전문매니저 하는 일 (5월 1주차)
1. 세금계산서 발행하기 (전월말 기준)
2. 청소인력 월급 지출
3. 임대료 청구서 만들기
4. 월말 정산 못한 부분 정리
5. 냉난방기 수리
6. 회의실 사용실적
7. 창업보육매니저 시험보기! (5월 말에 시험)
8. 지원사업 전체 엑셀정리
위에서 말한것 처럼, 대부분의 시간을 5월 말 창업보육매니저 시험 보기에 사용했기 떄문에 이번 주 근무일지는 상대적으로 적음.
1. 세금계산서 발행하기
→ 월말 기준으로 임대료 받은 것들을 대해서 세금계산서 발행을 하기 때문에, 월초 업무의 한가지이다.
일괄 등록으로 하면 편하고 거래처등록을 해놓고 하면 매우 편함.
2. 청소인력 월급 지출
→ 센터가 분리가 되어있기 때문에 청소인력을 따로 사용하기에, 월급을 따로 드려야하기에 지출을 해야함.
3. 임대료 청구서 만들기
→ 매월 초 5~7일까지 당월 임대료 청구서를 만들어서 메일로 쏴줘야지 입주기업분들이 청구된 내용을 보고 입금을 함.
예전에는 전기료와 임대료를 따로 청구를 했지만, 이제는 청구서 안에 전기료도 같이 포함시켜서 한방에 진행.
4.월말 정산 못한 부분 정리
→ 월말 정산시 미수금을 얼마이고 임대보증금은 얼마 들어왔고, 미수금 회수는 얼마 되었는지에 관련하여, 엑셀 파일이 있는데 그 부분을 다 정리를 못했기에 월초 업무로 넘어옴
5. 냉난방기 수리
→ 5월이기 때문에 미리미리 에어컨 수리를 해줘야지 아니면 민원이 미친듯이 들어옴. 민원들어오면 그거 처리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미리미리 처리하는게 좋다.
6. 회의실 사용실적
→매월 경기테크노파크에서 회의실 사용실적을 내야하는데, 말 그대로 회의실 사용실적은 제출하면된다. 사용실적이 하나도 없는 달은... 입주기업에게 싸인만 받고 등록~
7. 창업보육매니저 시험 준비
→ 인건비, 여비 등등을 집행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으로 매니저가 되어야함. 그렇기 때문에 이번 상반기 하반기때 시험에 떨어지면 계상이 안되기 때문에 골치 아파질 수 있다. 그래서 미리미리 준비해 둬야한다.
8.지원사업 엑셀 전체정리
→ 시,도,진흥원에서도 받고 여러 입찰공고를 통해서 자금을 받고 있기 때문에 얼만큼 자금이 있고, 누구에게 얼만큼 보조할 수 있는지 파악해야함. 괜히 500만원을 보조해주기로 했다가 알고보니 200만원이면 입주기업 민원 엄청나게 들어옴
특히 미리 결제를 한 상태라면 더욱 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