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잃은 문돌이입니다. 저는 IT 공부를 하고있는 문돌이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의 벽은 컸습니다. 나이도 나이인지라, 가만히 공부만 할 수 있지도 않지만 이러한 부담감을 이겨내면서까지 코피터지게 공부하기가 내가 정말 하고싶은건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기 때문에 조금더 시간을 잘라서 쓰더라도 한번 맛이라도 보고 정말 아니다 생각된다면, 이 길을 계속 닦을 생각이였습니다.
창업을 하면서 느꼈던 것이 주먹구구식의 창업이였기에, 저는 대학 센터로 들어오게 된 이유도 있습니다. 좀 더 배우고 싶더라구요. 큰 조직 구조에서의 결제라인이라던지 조직이 가져야 하는 시스템을 배우고싶었습니다.

창업보육센터에서 창업보육전문매니저로 일을 한다는 것은 누구한데는 쉬울 수도 있겠지만 누구한데는 조금 어려운 업무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대표님들을 다루고 계획을 하고 실행을 하고 평가를 해야하기 때문에 업무가 많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또한 루틴이 있기에 오늘은 월간 업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매월 해야하는 업무라서
매주 창업보육전문매니저의 업무와 근무환경을 이야기 하려는데, 매월 작성해야할 것 같아서 이렇게 따로 글을 적습니다.
어쩌다 서른 #4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업무 및 근무
<월간 업무>
1. 임대료 세금계산서 (월납 입주기업)
2. BI-net 업데이트(계약서 업데이트 및 퇴거, 신규업체 등록)
-경영평가에 치명적!
3. 전기계량 + 전기 및 상수도 결제
3_1 . 임대료청구 및 전기사용료 입주기업 알리기
4. 카드 결제 지출결의
5. 임대료 및 전기 사용료 받은 통장에서 나눠서 수익 결의서
6. 임대보증금
7. 롤휴지 , 쓰레기 봉투 등 필요한것 확인
8. 입주기업현황 그림 바꾸기 및 서류철
9. 청소인부 서명 받기 및 지출결의 넣기
10. 마지막 회게 입력자료
(통장잔고 및 임대보증금 및 미수금)
11. 경비 및 정수기 금액 결제올리기.
4월 첫째주인만큼, 매월 말, 또는 매월 초에 마무리 지어야하는 업무들을 작성했습니다.
혹시나, 추후에 창업보육전문매니저를 꿈꾸시는 분들이나, 산학협력단에 들어가고자 하는 미래의 창업보육전문매니저님의 하나의 가이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의 업무스타일이나 타 센터들의 다른 업무환경이 달라질 수 있으니 감안해주시길 바랍니다.
1.임대료 세금계산서 발행
→ 입주기업들의 임대료 세금계산서의 경우 저희센터는 매달 받고 매월 초 (10일 이전) 모두 발급해드리는 형태로 업무를 하기 때문에, 30일, 31일까지 받은 금액을 홈텍스를 통해서 세금계산서를 발행합니다.
여러개의 기업에게 주기 때문에 일괄발급으로 하는것이 좋으며, 센터의 공인인증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회계팀에게 받아서 진행하면 좋아요~ 물론, 회계팀에서 직접 해주는 경우도 있으니 케바케!
2. BI-NET 업데이트
→매달 연장계약을 하고, 신규계약을 하고 또한 퇴거, 졸업 처리가 되었다면, 이를 동기화 시켜주어야 월말 입주률과 공실률을 줄여 경영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전기계량 및 전기 상수도 지출
→ 대학과 센터의 경우 대학 전기를 사용하거나 일반 상업용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데, 검침을 하고, 이에 대한 계절별 요금을 적용하셔 해당 호실들의 전기 사용료를 계산해야합니다. 매달 임대료를 청구할때 필요합니다.
또한, 전기 및 상수도 계산한 것들을 총무팀에서 받고 이를 지출하는 지출결의서를 상신합니다.
3_1 . 임대료청구 및 전기사용료 입주기업에게 알리기.
→3번의 전기계량을 할 경우, 전기사용료와 함께, 해당 입주기업의 임대료를 계산하여 모든 입주기업에게 알리는 업무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임대료청구가 매월 초에 있으니, 해당 달이지만, 전기사용료는 저번달의 검침한 사용료이기에,
저번달 기준입니다.
즉, 이번달 임대료 + 전기사용료가 청구서에 들어가있는것이기에 작성을 해야합니다.
4.카드 지출 결의 올리기
→카드 사용을 하게 된다면, 카드 사용의 재원이 중요한데 보조금일 경우 바로 금액에서 지출되지만, 창업보육센터의 자체 계좌일 경우 신용카드이기에, 계좌에서 결제가 되지만, 이전에 카드사에 보내는 역할. (사실 이부분은 왜 이렇게 하는지 모르겠지만, 회계팀에서 하라고함 ㅋ)
5. 임대료 및 전기 사용료 수익결의 상신하기.
→ 임대료를 받았고 전기 사용료를 받게 된다면, 이를 결제라인에 태워야합니다. 뭐.. 이건 조직 내부 결제 상황이기 때문에 따르는걸로!
6. 임대 보증금 수익 결의 상신
→ 이는 매월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새로운 입주기업이 들어올 경우 받는 임대보증금을 수익 결의 해야함.
7. 매월 롤휴지와 일반적인 사용되는 소모품을 전체적으로 점검하기.
→ 이는 사실 매월 업무라고 적혀있긴 하지만 보이면 시키고 없으면 없는대로 있다가 필요할때 구입합니다 하하;;
8. 입주기업현황 과 서류철 수정하기.
→입주기업 현황 수정을 하는 것은 새로운 신규기업이나 퇴거 업체가 있을 경우 하며, 서류철의 경우 감사를 위해서 진행.
9. 청소인부 서명 및 지출 올리기.
→ 청소인부 서명을 받고 매월 어디 청소 하셨는지 서명을 따로 받고 이에 따른 지출을 올리는 역할.
이거 늦게 올렸다가 여사님한데 시달립니다 하하
10.마지막 회계 입력과정
→ 이 과정이 가장 마지막에 이루어지는 과정인데, 미수금 ,임대보증금은 매달 발생하는게 한 두건 정도라서 따로 관리하는게 좋더라구요 또한, 회계감사나 센터 전체 보고서를 작성할때 필요한데 막상 필요할때는 한해를 전체적으로 다봐야하기 떄문에 미리미리 작성하는게 좋저라구요
또한, 통장잔고랑 비교해서 해당 달에 들어온 임대료 수익을 얼마이고, 전기 수익은 얼마고, 지출은 얼마인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가장중요한 총 입금 내역과 계산한 수익과 일치하는지 확인해야합니다!
총 입금 금액과 임대료, 전기 수익이 같다면 PASS 1원이라도 다르다면 하나하나 찾아야합니다.
11. 경비 및 정수기 결제 올리기.
→ 이는 매달 발생하는 유동비로 매달매달 올려야하는데 메일로 경비와 정수기의 세금계산서가 오기 때문에 승인을 하고 이를 첨부파일 화 해서 지출 결제를 올리면 끝!
위와 같은 업무를 매월 말 보다는 초에 진행을 하고 일주일안에 다 처리가 되면 되는데 일주일 내에 다른 업무가 계속 들어오기 때문에, 일주일에 끝내기가 버거울 수도 있어요 또한 타 사업계획을 하고 있다면 이것과 같이 운영하면서 시간남을때 지출증빙서류를 만들고 회계자료 입력하고 엑셀자료까지 다 만들어 놔야하기때문에 허덕거릴때도 있지만, 그래도 9시에 시작해서 6시에 딱 끝날 만큼의 업무이기 때문에 부담감은 없는데 여기서 타 사업계획을 하나 더 한다면 허덕거릴 수 있기에, 계획은 어느정도 익숙해진다면 진행 해보려고 합니다 :D
'문돌이의 Hello, World! > 현생복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쩌다 서른 #6 : 4월 2주차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업무 및 근무일지 (0) | 2022.07.30 |
---|---|
어쩌다 서른 #5 : 4월 1주차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업무 및 근무일지 (0) | 2022.07.22 |
[번외편] 창업보육매니저와 비전공 IT 코딩독학 다시 시작 (0) | 2022.06.28 |
어쩌다 서른 #4 : 연고없는 지역에 혼자서 떨어진 직장인 (0) | 2022.04.04 |
어쩌다 서른 #2 : 첫출근으로부터 30일간의 행보 (0) | 2022.03.11 |